
N 라인 이란?
2015년에 발표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서브 브랜드. BMW M, 폭스바겐의 R, 르노의 르노 스포트, 닛산의 니스모, 토요타의 GR,
스바루의 STi, 혼다의 타입 R, 아큐라의 타입 S 및 A-스펙 푸조의 GTi, 미쓰비시의 랠리아트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들의 고성능 브랜드/디비전들처럼, 현대차도 스포츠성을 강조한 차량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개발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N 시리즈를 벌써부터 AMG나 폴스타, 세아트의 쿠프라 내지는 피아트의 아바스 같은 개념의 거의 독립적인 브랜드라 인식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직 N은 현대차 산하의 부서이자 현대차 특정모델의 최고성능 버전에 붙는 배지이지,
마치 AMG처럼 브랜드 운영과 자동차 라인업이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닙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프리미엄 브랜드들인 캐딜락의 V, 알파 로메오의 콰드리폴리오, 폭스바겐의 R, 렉서스의 F, 마세라티의 트로페오,
포드의 RS, ST, SVT, FPV, FP, SVO, 닷지의 SRT, 아우디의 S와 그 상위 버전인 RS가 있습니다.
이들 모두 아직까지 독립적인 사업부나 자회사가 아닌 서브 브랜드로만 운용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BMW M의 총괄 개발 책임자인 알버트 비어만을 현대차의 고성능차 개발 담당 부사장으로 영입하고,
같은 BMW M의 북남미 총괄임원인 토마스 쉬미에라를 N 전담부서와 모터스포트 전담 부사장으로 영입하는 등,
인사 면에서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앞으로 N 또는 N-라인을 점차 많은 모델로 확대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슬로건
ㆍ 2015년: 엔게이지드(Ngaged) - 자동차와 운전자가 혼연일체가 되는 순간
ㆍ 2021년: 네버 저스트 드라이브 (Never just drive) - 다변화되는 자동차의 동력원에도 변치 않는 운전의 즐거움
분류

크게 N, N Line, N Performance로 나뉘어져 있고, N과 N Line, 그리고 일반 현대 차량에 N Performance 파츠 장착이 가능 합니다.
상징
'N'이라는 브랜드 명은 현대자동차 기술 개발 심장부인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
그리고 N 시리즈 차종의 최종 성능을 시험하는 장소인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의 머릿글자에서 따 온 것 입니다.
로고에서의 곡선 조형은 차량의 제동력, 코너링, 가속력을 종합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시케인 코스를 형상화 했습니다.
분청사기에서 모티브를 따 온, 걸프 오일의 하늘색과 비슷한 특유의 푸른 색은 퍼포먼스 블루(#A1C4EB)라 명명되었으며,
'소닉 블루'를 적용한 코나 N을 제외하고 모든 N 차량의 기본 도색이 됩니다.
브랜드 발표 당시 인터넷에서 현대자동차의 이미지가 좋은 편이 아니었던 만큼 엠블럼의 색상과 명칭 때문에 BMW M 따라하냐,
브랜드 상징 색 때문에 폴스타 베낀거 같다는 조롱들이 있었지만, 사실 삼원색은 워낙 보편적으로 쓰이는 디자인 요소라서 따라했다고 하긴 어렵고,
현대자동차가 N이라는 명칭이 공돌이들의 무덤인 남양연구소의 이니셜이라고 밝히자 납득한 사람들이 많았다는 이야깃거리가 있습니다.
[N라인에 대한 상세 정보 보러가기 ▶]
N 라인 이란?
2015년에 발표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서브 브랜드. BMW M, 폭스바겐의 R, 르노의 르노 스포트, 닛산의 니스모, 토요타의 GR,
스바루의 STi, 혼다의 타입 R, 아큐라의 타입 S 및 A-스펙 푸조의 GTi, 미쓰비시의 랠리아트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들의 고성능 브랜드/디비전들처럼, 현대차도 스포츠성을 강조한 차량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개발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N 시리즈를 벌써부터 AMG나 폴스타, 세아트의 쿠프라 내지는 피아트의 아바스 같은 개념의 거의 독립적인 브랜드라 인식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직 N은 현대차 산하의 부서이자 현대차 특정모델의 최고성능 버전에 붙는 배지이지,
마치 AMG처럼 브랜드 운영과 자동차 라인업이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닙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프리미엄 브랜드들인 캐딜락의 V, 알파 로메오의 콰드리폴리오, 폭스바겐의 R, 렉서스의 F, 마세라티의 트로페오,
포드의 RS, ST, SVT, FPV, FP, SVO, 닷지의 SRT, 아우디의 S와 그 상위 버전인 RS가 있습니다.
이들 모두 아직까지 독립적인 사업부나 자회사가 아닌 서브 브랜드로만 운용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BMW M의 총괄 개발 책임자인 알버트 비어만을 현대차의 고성능차 개발 담당 부사장으로 영입하고,
같은 BMW M의 북남미 총괄임원인 토마스 쉬미에라를 N 전담부서와 모터스포트 전담 부사장으로 영입하는 등,
인사 면에서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앞으로 N 또는 N-라인을 점차 많은 모델로 확대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슬로건
ㆍ 2015년: 엔게이지드(Ngaged) - 자동차와 운전자가 혼연일체가 되는 순간
ㆍ 2021년: 네버 저스트 드라이브 (Never just drive) - 다변화되는 자동차의 동력원에도 변치 않는 운전의 즐거움
분류
크게 N, N Line, N Performance로 나뉘어져 있고, N과 N Line, 그리고 일반 현대 차량에 N Performance 파츠 장착이 가능 합니다.
상징
'N'이라는 브랜드 명은 현대자동차 기술 개발 심장부인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
그리고 N 시리즈 차종의 최종 성능을 시험하는 장소인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의 머릿글자에서 따 온 것 입니다.
로고에서의 곡선 조형은 차량의 제동력, 코너링, 가속력을 종합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시케인 코스를 형상화 했습니다.
분청사기에서 모티브를 따 온, 걸프 오일의 하늘색과 비슷한 특유의 푸른 색은 퍼포먼스 블루(#A1C4EB)라 명명되었으며,
'소닉 블루'를 적용한 코나 N을 제외하고 모든 N 차량의 기본 도색이 됩니다.
브랜드 발표 당시 인터넷에서 현대자동차의 이미지가 좋은 편이 아니었던 만큼 엠블럼의 색상과 명칭 때문에 BMW M 따라하냐,
브랜드 상징 색 때문에 폴스타 베낀거 같다는 조롱들이 있었지만, 사실 삼원색은 워낙 보편적으로 쓰이는 디자인 요소라서 따라했다고 하긴 어렵고,
현대자동차가 N이라는 명칭이 공돌이들의 무덤인 남양연구소의 이니셜이라고 밝히자 납득한 사람들이 많았다는 이야깃거리가 있습니다.
[N라인에 대한 상세 정보 보러가기 ▶]